생활

임상 연구간호사 CRC 뜻과 담당 업무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요

마마스머프 2025. 2. 12. 07:00

신약 개발을 하는 임상시험 과정시 병원이나 연구기관에서 일하는 CRC<임상 연구간호사>가 있어요. 오늘은 CRC 뜻과 담당 업무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하얀색 의료복을 입은 여자 간호사가 팔짱을 낀채 정면을 보며 웃고 있다. 갈색머리를 하나로 묶었다.

CRC 뜻 

CRC(Clinical Research Coordinator)는 임상연구 코디네이터로 주로 연구간호사라고 말해요. 신약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하는 병원이나 연구기관에서 근무합니다. 이들은 임상시험 기간 동안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 사이에서 전반적인 관리와 조정을 담당해요.

CRC 담당 업무

연구간호사는 임상시험 전 과정에 걸쳐 아래와 같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1> 임상시험에 응할 연구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2> 연구 대상자나 보호자에게 임상시험에 관한 프로토콜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습니다.

3> ​연구자와 함께 시험약을 투약한 뒤에 연구 대상자들의 생명징후(vital sign)을 측정하고 관리합니다.

 

4> 검체 수집과 처리를 거쳐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서면 동의를 받습니다. 

​5> 연구대상자에게 시험약을 투약한 후 관찰한 내용을 기록합니다. 

CRC의 장점과 단점

<장점>

1> 상근직 간호사로 근무하면서 전문성을 살리고,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어요.

2> 연구간호사는 자기가 맡은 연구와 관련된 업무만 하면 되기 때문에 독립적인 업무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요.

3> 연구간호사는 임상처럼 근무 시간 내내 환자를 상대하지않기 때문에 환자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가 적어요. 

<단점>

1> 우리나라에서 임상 연구에 대한 인식이 아직 개선되지 않아 정규직 채용이 드물어요. 따라서 고용이 불안정하고 연봉처우가 낮아요.

 

2> 임상과 다르게 서류 업무, 국내외 이메일 업무 비중이 굉장히 높아요. 이에 업무에 적응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돼요.

3> 연구간호사는 정규직이 아직 부족해요. 대부분 계약직이나 교수님 직속의 개인 연구간호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육아휴직을 쓰거나 은행 대출을 받는 것에 제약을 받기도 해요.

 

지금까지 CRC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