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속담풀이

어머니에 관한 속담 18가지를 소개해요

by 마마스머프 2025. 7. 4.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어머니와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어머니에 관한 속담 18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3명의 어머니들이 나란히 서서 웃고 있다. 두팔 가득 꽃다발을 안고있다.

어머니에 관한 속담 18가지

1> 어머니 다음에 형수 : 형수는 그 집안 살림을 맡아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 다음의 위치를 차지한다는 말.

 

2> 아버지 뼈 어머니 살 : 아버지 집안에서는 혈통과 가풍을 이어받고, 어머니 집안에서는 사랑과 영양을 공급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어머니 배 속에서 배워 가지고 나오다 : 태어날 때부터 이미 알고 있다는 말.

4> 열 사람의 작은어머니보다 한 사람의 어머니가 더 크다 : 작은어머니보다 어머니에 대한 자식의 깊은 정은 크고 각별하다는 말.

5> 여자가 약해도 어머니 되는 데는 강하다 : 여자가 몸은 연약하여도 자식을 낳아 기르는 데는 매우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말.

6> 자식을 보기 전에 어머니를 보랬다 : 자식은 일반적으로 어머니 품에서 자라기 때문에 어머니의 품성을 닮으니 어머니를 보고 자식을 평가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7> 자식은 어머니가 키운다 : 자식을 키우는 데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공이 더 많이 들어감을 이르는 말.

 

8> 그 어머니에 그 아들[딸] : 아들딸의 재능이나 행실이 자기 어머니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9> 어린아이 병엔 에미만 한 의사 없다 : 앓는 아이에 대한 어머니 정성은 아무리 이름난 의사의 의술도 당할 수 없을 만큼 극진하고 신통함을 이르는 말.


10> 어머니가 의붓어머니면 친아버지도 의붓아버지가 된다 : 어머니가 계모이면 자연히 아버지는 자식보다 계모를 더 위하여 주기 때문에 아버지와 자식의 사이가 멀어진다는 말.

 

11> 늙은 아이어미 석 자 가시 목구멍에 안 걸린다 : 늙도록 아이를 많이 낳은 어머니들은 석 자나 되는 가시를 먹어도 목에 안 걸리고 넘어갈 만큼 속이 비고 궁하게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가시어머니 모셔다 놓은 듯 : 까딱하지 않고 하는 일 없이 지내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겨울 화롯불은 어머니보다 낫다 :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것이 제일 좋음을 이르는 말.

14> 벙어리 속은 그 어미도 모른다 : 말을 하지 않고 가만있는 벙어리의 속마음은 그 어머니조차도 알 길이 없다는 뜻으로, 무슨 말을 실지로 들어 보지 않고는 그 내용을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어머니가 반중매쟁이가 되어야 딸을 살린다 : 딸을 둔 어머니는 중매쟁이가 되다시피 하여야 딸을 시집보낼 수 있다는 뜻으로, 과년한 딸을 가진 어머니는 딸을 시집보내기 위해서 누구보다 애쓰고 뛰어야 한다는 말.

16> 자식 떼고 돌아서는 어미는 발자국마다 피가 고인다 : 자식을 떼어 버리고 돌아선 어머니는 걸음마다 피를 쏟으며 걷는다는 뜻으로, 어머니가 자식을 떼어 놓는 일이 매우 괴롭고 고통스러운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가시어머니 장 떨어지자 사위 국 싫다 한다 : 처갓집에 장이 떨어져서 국을 끓일 수 없게 되었는데 마침 사위가 국은 싫어서 먹지 않겠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서로 공교롭게도 때맞추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8> 애어미 삼사 월에 돌이라도 이 안 들어가 못 먹는다 : 젖을 먹이는 아이어머니는 식성이 좋아 닥치는 대로 잘 먹는데 더군다나 해가 긴 음력 삼사 월에는 이만 들어가면 돌이라도 먹을 형편이라는 뜻으로, 젖을 먹이는 어머니들이 무엇이나 가리지 아니하고 다 잘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