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종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종에 관한 속담 29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종에 관한 속담 29가지
1> 먹지 않는 종 투기 없는 아내 : 너무나 비현실적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문서 없는 종 : 계약 문서 없이 부리는 종과 같다는 뜻으로, 행랑살이하는 사람이나 아내 또는 며느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빚진 죄인[종](이라) : 빚진 사람은 빚 준 사람에게 죄인이나 종처럼 기를 펴지 못하고 구속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내 배 부르면 종의 밥 짓지 말라 한다 : 자기만 만족하면 남의 곤란함을 모르고 돌보아 주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5> 제 배 부르니 종의 배 고픈 줄 모른다 : 권세 있고 잘사는 사람들이 제 배가 불러 있으니 모두 저와 같은 줄 알고 저에게 매여 사는 사람들이 배를 곯는 줄을 알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6> 상전 배부르면 종 배고픈 줄 모른다 : 권세 있고 잘사는 사람들이 제 배가 불러 있으니 모두 저와 같은 줄 알고 저에게 매여 사는 사람들이 배를 곯는 줄을 알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종의 자식 귀애하니까[귀애하면] 생원님 나룻에 꼬꼬마를 단다 : 너무 귀여워하면 도리어 조롱을 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종년 간통은 소 타기 : 종년을 간통하는 것은 누운 소 타기와 같이 쉽다는 뜻으로, 지위나 권세로써 일을 하기는 쉽다는 말.
9> 종을 부릴려면 주인이 먼저 종노릇해야 한다 : 남을 부리려면 부리는 사람이 미리 일의 속사정을 알기 위하여 힘을 들여야 한다는 말.
10> 종의 자식 귀애하니까[귀애하면] 생원님 나룻에 꼬꼬마를 단다 : 버릇없는 사람을 지나치게 귀애하면 방자하여져서 함부로 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죽은 정승이 산 종만 못하다 : 살아서 아무리 권세를 부려도 죽으면 산 개의 신세만도 못하게 된다는 말.
12> 개천에 내다 버릴 종 없다 : 살림을 하노라면 쓸모없어 보이는 쪽박이나 그릇도 있는 대로 다 쓴다는 뜻으로, 사람도 다 제 나름대로 쓸모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과부댁 종놈은 왕방울로 행세한다 : 남자 주인 없는 과부 집에서 사내 종놈은 큰소리로 떠드는 것으로 한몫을 본다는 뜻으로, 실속은 없으나 공연히 한번 떠들어 대는 것으로 일삼는다는 말.
14> 가래 터 종놈 같다 : 힘든 가래질을 억지로 하는 종과 같다는 뜻으로, 성품이 거칠고 버릇없이 굴거나 매사에 못마땅해서 무뚝뚝하게 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아버지 종도 내 종만 못하다 : 보잘것없는 것이라도 자신의 소유가 가장 좋은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 아버지 종도 내 종만 못하다 : 아무리 가까운 부자간에도 자식이 아버지 돈을 함부로 쓸 수 없다는 뜻으로, 가까운 사이에도 계산은 정확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상전 앞의 종 : 절절매며, 어쩔 줄 모르고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8> 상전은 말은 믿고 살아도 종은 믿고 못 산다 : 상전은 제집에서 부리는 말과 같은 동물은 믿으나 종은 믿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사람은 동물만큼도 믿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상전은 미고 살아도 종은 미고 못 산다 : 상전은 미워하고 괄시하여도 살 수 있으나 같은 신분인 종끼리 미워하고 괄시하면서는 살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0> 상전의 빨래에 종의 발뒤축이 희다 : 상전의 빨래를 하여 주면 제 발뒤축이 깨끗하게 된다는 뜻으로, 하기 싫어 마지못해 하는 남의 일이라도 해 주고 나면 얼마간의 이득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생원님이 종만 업신여긴다 : 지체도 높지 아니한 생원이 만만한 종만 업신여기며 못살게 군다는 뜻으로, 무능한 자가 자기 손아랫사람에게나 큰소리치며 윗사람 행세를 하려고 함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22> 드는 종은 몰라도 나는 종은 안다 : 자기 살림에 보탬이 되는 것은 잘 의식되지 않아도 손해되는 일은 잘 의식된다는 말.
23> 종과 상전은 한솥밥이나 먹지 : 종과 상전의 차이보다 더하다는 뜻으로, 너무 차등이 커서 한데 어울려 말도 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4> 빚 준 상전이요 빚 쓴 종이라 : 빚진 사람은 빚 준 사람의 종이나 다름이 없다는 말.
25> 말 타면 종 두고 싶다 : 사람의 욕심이란 한이 없다는 말.
26> 집안 가풍을 알려거든 그 집 종에게 물어보아라 : 어떤 집의 가풍이 좋은가 나쁜가 하는 것은 집안 사정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그 집의 종만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말.
27> 남의 종이 되거들랑 서울 양반 종이 되고 남의 딸이 되거들랑 시정의 딸이 되라 : 돈 많고 잘사는 집에 몸을 붙이거나 태어나야 복을 받을 수 있다는 말.
28> 말 많은 것은 과붓집 종년 : 말이 많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29> 종이 종을 부리면 식칼로 형문(刑問)을 친다 : 남에게 눌려 지내던 사람이 귀하게 되면 전날을 생각지 아니하고 아랫사람을 더 심하게 누르고 모질게 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
'속담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군에 관한 속담 5가지를 알아보자 (0) | 2025.07.24 |
---|---|
내시에 관한 속담 4가지를 소개해요 (0) | 2025.07.24 |
하인에 관한 속담 4가지를 살펴보자 (0) | 2025.07.24 |
머슴에 관한 속담 11가지를 살펴보자 (0) | 2025.07.24 |
마님에 관한 속담 2가지를 알아보자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