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연애, 예쁜 연애를 하고 싶으신가요? 그동안 연애를 하긴 했는데 그다지 행복하지 않았고, 두려움과 불안감만 가득해서 실망에 절여 있으신가요? 오늘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건강한 연애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건강한 연애, 예쁜 연애를 하는 방법
1> 평소 나 자신과 좋은 관계를 만들어 간다
연애를 하기 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나 자신과 좋은 관계를 맺어야 하는 것이에요. 내가 나 자신을 존중하고, 나의 시간과 공간을 소중하게 여겨야 합니다. 내 마음과 몸,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갖고 매일 잘 가꿔야 해요.
이렇게 혼자 있을 때 외로움과 결핍을 느끼는 대신 자신하고의 관계를 충실하게 맺는 사람은 건강하고 안정된 에너지를 갖게 됩니다. 이런 평온된 에너지를 가진 사람은 그 자체만으로도 빛이 나요.
2> 진정한 사랑을 찾기 위해 애쓸 필요가 전혀 없다
혼자 있다는 사실을 극히 싫어하고 두려움과 외로움을 갖는 사람은 결핍 에너지가 많은 사람이에요. 이런 결핍 에너지 때문에 자꾸 에너지를 채워줄 사람을 찾아다닙니다.
"나 외로운데 소개팅 좀 해줘."
"어디 좋은 사람 없어? 나 정말 고독하단 말이야."
"주말에 할 일도 없고, 인생이 너무 심심해."
"이성이 많은 곳에 가볼까? 헬스클럽이나 동호회 활동도 하면 만날 가능성이 클 거야."
이렇게 생각하면서 이성을 찾아 이곳저곳 기웃거리죠. 하지만 이런 억지 만남을 위해 노력해 봤자 좋은 사람을 만나지 못해요. 사람들은 결핍 에너지가 있는 사람을 본능적으로 알아차립니다. 그리고는 그 사람을 피하게 돼요.
그리고 사람들은 충만한 에너지를 가진 사람을 한 눈에 알아봐요. 그<그녀>가 어디에 있든지 사람들은 이런 평온한 에너지를 충만하게 가진 사람에게 저절로 이끌립니다.
3> 나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다
서로 마음에 드는 이성을 만났다면 물 흐르듯 지내시면 좋아요. 상대방에게 내가 어떤 능력을 가졌고,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어요. 그냥 당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자체만으로도 빛이 나기 때문이에요.
4> 상대방의 인격과 목표, 열정을 존중한다
나 자신이 소중하듯 상대방의 인격과 개인적인 목표, 열정을 존중해 주세요. 시시콜콜 말을 안 해도 상대방은 그 목표를 위해 당신을 만나기 훨씬 전부터 수많은 노력을 해왔을 거예요. 자신의 일과 열정을 존중해 주는 사람에게 그<그녀>도 깊이 감사함을 느낍니다.
5> 비판이 아닌 건설적인 피드백을 한다
연애를 하는 도중에 어떤 문제나 실랑이가 생긴다면 비판하지 말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세요.
"넌 왜 만날 네가 먹고싶은 것만 먹자고 하니?"
"넌 왜 네가 좋아하는 시간에만 만나자고 해?"
"요즘 살이 찐 거 아냐? 다이어트 좀 하면 좋겠어."
이런 식으로 말하면 기분이 많이 상해요. 그러니 같은 말이라도 표현을 순화시켜서 하시고, 건설적인 비판을 하시는 게 좋아요.
6> 상대방의 성장을 위해 개인적인 시간과 공간을 존중한다
아무리 연인 사이어도 매일 함께 하는 건 서로에게 안 좋아요. 개인적인 시간과 공간이 꼭 필요해요. 연락했는데 답장이 늦거나 안 준다고 감정 상해하지 마세요. 이럴 때 결핍 에너지가 큰 사람은 상대에게 엄청난 집착을 합니다.
"처음엔 답장도 바로바로 주더니, 왜 이렇게 늦지? 벌써 마음이 식었나?"
"혹시 딴 사람 생겼나? 나한테 마음이 떠나는 거 아닐까?"
이런 불안, 의심, 두려움의 감정에 휩싸인 채 상대에게 강한 집착을 보이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요. 하지만 이럴수록 상대방은 점점 멀어져 갑니다. 당신이 부담스럽게 행동하기 때문이에요.
다 큰 어른이 어떻게 만날 연인을 만나고 바로바로 연락하고 그럽니까? 혼자만의 시간도 갖고 싶고, 힐링도 하고 싶고, 친구들도 만나고 싶죠. 밀린 일도 처리해야 하고, 해야 할 게 많잖아요.
그러니 상대에게도 개인적인 시간을 주시고, 당신도 개인적인 시간을 가지세요. 그래야 건강한 연애를 할 수 있어요.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사다마! 대운이 오기 전에는 마가 낀다 뜻과 현명한 대처법을 알아보자 (0) | 2025.03.03 |
---|---|
연 날리는 꿈 및 연 나오는 꿈의 해몽을 자세하게 알아보자 (0) | 2025.03.03 |
일이 잘 안 풀릴 때가 사실은 매우 잘 풀릴 때이다 (0) | 2025.03.01 |
아이 학생 어른 모두 도서관에 가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 (0) | 2025.02.28 |
분류과세 뜻과 퇴직소득세 및 양도소득세의 분류과세 적용을 알아보자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