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남편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남편에 관한 속담 17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남편에 관한 속담 17가지
1> 미워도 내 남편 고와도 내 남편 : 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2> 아기 버릇 임의 버릇 : 부모가 아기를 돌보아 주듯이 아내가 남편을 돌보아 주어야 남편이 좋아함을 이르는 말.
3> 남편은 두레박 아내는 항아리 :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다 항아리를 채운 데서, 남편이 밖에서 돈을 벌어 집에 가지고 오면 아내는 그것을 잘 모으고 간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남편 덕을 못 보면 자식 덕을 못 본다 : 시집을 잘못 가서 평생 고생만 하는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5> 남편 복 없는 여자는[년은] 자식 복도 없다 : 시집을 잘못 가서 평생 고생만 하는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6> 남편을 잘못 만나면 당대 원수 아내를 잘못 만나도 당대 원수 : 결혼을 잘못하면 일생 동안 불행하다는 말.
7> 남편 죽었다고 섧게 울던 년이 시집은 먼저 간다 : 남편이 죽자 서럽게 울며 정절을 지킬 듯이 굴던 아내가 남보다 먼저 재가한다는 뜻으로, 남들 앞에서는 끝까지 지조를 지킬 듯이 하다가 먼저 변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 그 애비에 그 아들 그 남편에 그 녀편네 : 아들이 못된 제 아비를 닮고 아내가 제 남편을 닮아서 못된 짓을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9> 쥐 안 잡는 고양이와 일 안 하는 남편도 써먹을 때가 있다 : 여느 때에는 있으나 마나 하고 쓸모없는 것 같아도 요긴하게 쓰일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남편 공경하지 않는 시어미는 며느리가 남편 공경하는 것을 믿지 않는다 : 자기의 행실이 바르지 못한 사람은 남이 옳은 일을 하여도 잘 믿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1> 임 없는 밥은 돌도 반 뉘도 반 : 남편 없이 혼자 지낼 때는 잘 먹지 아니하고 산다는 말.
12> 한 밥그릇에 두 술이 없다 : 한 남편에게는 한 아내만 있어야 한다는 말.
13> 한 말에 두 안장이 없다 : 한 남편에게는 한 아내만 있어야 한다는 말.
14> 사내를 한번 잘못 만나면 생전 원쑤라 : 남편을 잘못 맞으면 평생 동안 마음고생을 하면서 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남편이 버는 돈은 마음대로 할 수 있지만 아들이 버는 돈은 며느리가 주관하므로 어찌할 수 없다는 말.
16> 영감 밥은 누워 먹고 아들 밥은 앉아 먹고 딸의 밥은 서서 먹는다 : 남편 덕에 먹고사는 것이 가장 편하고, 아들의 부양을 받는 것은 그보다 편하지 않으며, 시집간 딸의 집에 붙어사는 것은 어렵다는 말.
17> 신축년에 남편 찾듯 : 신축년에 큰 흉년으로 가족이 모두 흩어지고 떨어져서 서로 찾아다녔다는 데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여기저기 찾아다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
'속담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가집에 관한 속담 3가지를 알아보자 (0) | 2025.07.08 |
---|---|
기와집에 관한 속담 8가지를 살펴보자 (0) | 2025.07.08 |
아내 또는 처에 관한 속담 36가지를 소개해요 (0) | 2025.07.08 |
호미에 관한 속담 3가지를 살펴보자 (0) | 2025.07.07 |
망치에 관한 속담 2가지를 살펴보자 (0) | 202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