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무기력증에 빠지는 이유와 가장 빨리 빠져나오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by 마마스머프 2024. 1. 3.

인생을 살다 보면 종종 무기력증에 빠지게 됩니다. 아무것도 하기 싫고, 귀찮아지는 상태가 돼버리죠. 이런 무기력은 모든 에너지가 다 소진된 번아웃과는 다릅니다. 무기력은 신체적인 에너지는 있는데 할 마음이 없는 상태예요. 이에 무기력증이 생기는 이유와 무기력증에서 가장 빨리 빠져나오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이 있고, 아래에는 파란 바다가 있다. 바다 속에서 매우 커다란 사람의 오른손이 올라와서 손바닥을 펼치고 있다.

사람이 무기력증에 빠지는 이유

사람은 왜 무기력증에 빠질까요? 바로 자신이 하는 일에서 의미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우리 인간에게 있어 '의미'는 매우 중요합니다. "난 왜 사는 걸까?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삶의 의미를 진지하게 고민하죠. 그렇잖아요. 살아도 그만 안 살아도 그만이라면 우리가 열심히 공부하고, 일할 이유가 있을까요?

 

여기서 인간은 동물과 큰 차이가 있는 것이에요. 본능에 충실한 동물이 '의미'를 생각하나요? 동물들이 "난 왜 살까? 왜 열심히 먹이를 찾아다닐까? 왜 자식을 낳을까? 동물의 권리와 미래를 위해 무얼 할까?" 라고 생각하지 않죠. 동물들은 본능적으로 배가 고프면 먹이를 찾고, 사냥을 하고, 천적을 피해 도망치고, 짝짓기를 통해 자식을 낳고, 재빨리 독립시킵니다. 동물들은 수천 년이 흐르는 동안 이런 단순한 삶에서 벗어나지 않아요.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같은 패턴으로 살아갈 거예요. 

무기력증에서 가장 빨리 빠져나오는 방법

1) 내가 하는 일에서 의미를 찾으셔야 합니다.

이미 말했듯 인간은 의미를 잃어버릴 때 무기력해집니다. 그래서 내가 하는 어떤 일에 작은 의미라도 찾는 게 중요해요. 인류애와 인류 발전 등의 거창한 의미를 말하는 게 아니에요. 아주 작게나마 "내가 하는 이 일이 한 아이의 잃어버린 웃음을 되찾아줄 수 있어. 내가 하는 이 일이 한 사람의 배고픔을 해결해줄 수 있어. 내가 하는 이 일이 절망에 빠진 사람에게 소망을 줄 수 있어."라고 생각해 보세요. 내가 하는 작은 일이 한 사람에게만이라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얼마나 가치가 있나요.

 

예를 들어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같은 후원단체를 통해 한 달에 3만원씩 기부를 한다고 해봐요. 3만 원이면 치킨 한 마리~2마리 정도는 먹을 수 있죠. 그런데 한 번 먹고 사라지는 치킨값을 정기적으로 후원한다면 아프리카에 사는 소년소녀 가장과 그 가족들에게 희망찬 삶을 줄 수 있어요. 절망에 빠진 한 가정의 아이들을 잘 키워서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작은 3만원은 아직도 아프리카 가난한 사람들에겐 우리 돈 300만 원의 가치가 되거든요. 그 돈으로 하루 한 끼도 못 먹고 풀죽이나 흙을 파먹는 아이들, 고된 노동일을 하며 옥수수가루 한 봉지의 대가만 받는 가나, 우간다 등의 8세~15세 아이들을 따뜻하게 먹이고, 학교 교육도 받게 하고, 집도 지어주고, 밭과 가축도 사게 할 수 있어요. 그렇게 잘 자란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그 나라 발전과 이웃들을 또 돕게 만들어 선순환의 삶을 살도록 만들죠. 그러니 그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어마어마해져요. 그리고 해외 아동뿐만 아니라 국내 아동과 결연을 맺어서 도울 수가 있어요.

 

지난 6·25전쟁 때 우리 한국은 미국을 비롯, 전 세계 많은 국가들의 도움을 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벨기에, 캐나다, 필리핀, 터키, 룩셈부르크, 에티오피아, 중남미 국가 등 당시 각국에서 수많은 군인들이 한국에 파병되어 큰 도움을 주었어요. 이들 중에 전사자도 셀 수 없이 많았죠. 남의 나라인 한국을 위해 목숨 바쳐 싸워준 그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지금의 발전한 한국이 있는 것이에요. 그러니 이제는 우리가 어려운 다른 나라 아동들을 돕는 게 바로 선순환의 삶입니다.

 

2) 가볍게 설거지를 하세요

무기력증에 빠지면 아무 것도 하기 싫어지니 집안 상태가 엉망이 됩니다. 그럴 때 설거지라도 먼저 해보세요. 그릇 들기가 힘들더라도 천천히 하다 보면 신체가 움직입니다. 이런 작은 움직임이 내 마음을 살짝 요동치게 만들고, 깨끗해진 그릇을 보면 마음도 맑아지죠.

 

그런 다음 아주 작게나마 청소를 하는 것이에요. 서랍 정리를 한다거나, 침대 정리를 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절대 대청소는 하지 마세요. 무기력한 사람이 갑자기 크게 활동하면 역효과가 납니다. 그냥 작게 작게 움직이시면서 설거지나 가벼운 청소만 하시는 걸 추천해요.

 

3) 좋은 멘토를 만나세요

멘토가 있으신가요? 만일 있다면 무기력할 때 그 분을 만나는 게 좋습니다. 물론 멘토에겐 민폐가 될 수도 있어요. 그분도 남 모를 어려움과 고통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평소에 좋은 멘토와 좋은 관계를 만들어놓는 게 중요하죠. 만일 이런 분이 있다면 만나서 따뜻한 격려의 말씀을 듣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만일 아직 없다면 지금이라도 그런 분을 만들도록 노력해 보세요. 인간관계는 쌍방의 노력이 필수니까요. 

 

4) 적성에 맞는 일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적성에 맞는 일을 할 때 기쁘고 행복해집니다. 내가 택한 대학 전공이 적성이 아닌 성적에 맞춰 들어갔거나, 지금의 직업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면 괴로운 건 당연해요. 기쁨도 없이 그냥 돈을 벌기 위해 하게 돼죠. 이런 사람은 무기력증에 안 빠지는 게 이상합니다. 그러니 자신의 적성을 잘 살펴보고, 지금 배우는 전공이나 하는 일이 내 적성과 정말 안 맞아 괴롭다면 과감히 버리세요. 그리고 내가 기쁘게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찾으세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죽기 전까지 늦은 건 아무것도 없어요.

 

지금까지 무기력증에 빠지는 이유와 가장 빨리 빠져나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