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케이크처럼 달콤한 인생을 사는 방법을 알고 싶어요

by 마마스머프 2024. 3. 2.

우리 인생이 케이크처럼 부드럽고 달콤하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데 대다수 사람들은 말하죠. 인생은 참 고통스럽다고요. 생로병사는 인생을 사는 동안 누구에게나 따라붙는 고통의 요인이 됩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이왕 태어난 이 세상이니 달콤한 인생을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드릴게요. 

나무 식탁 위에 컵케이크 7개가 있다. 노란색, 빨간색, 하얀색, 초콜릿색 케이크가 다양하게 있고, 크림 위에는 빨간 하트들, 노란 크림, 초콜릿크림이 한가득 올려졌다.

내 인생도 케이크처럼 달콤하게

케이크를 드셔보셨죠? 입 안 가득 먹었을 때 사르르 녹는 그 달콤한 부드러움이란! 외관도 예쁘고 맛도 훌륭해서 인기가 참 많죠. 그런데 이 케이크를 만날 먹는다면 어떨까요? 설탕 중독에 걸려 그 맛을 더 이상 못 느끼게 될 거예요. 부드러움이 느끼함으로, 달콤함이 밋밋함으로 변하고 말죠. 1년에 몇 번 먹기 때문에 맛있다고 여겨지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주식인 밥이 얼마나 고마운 것인가요? 밥이 질리는 경우는 드물죠. 질릴 때는 밀가루 음식을 먹지만, 1년에 200일을 매일 먹어도 밥이 질리는 경우는 드물어요. 서양인들에겐 빵이 주식이니 빵이 질리다고 생각하지 않듯이요. 그래서 수천 년 동안 쌀은 한국인의 주식이 되어왔어요.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예요. 100년을 산다고 해도 어차피 하루 하루가 이어져서 100년이 되는 것이에요. 365일*100년=36500일입니다. 36,500일이 우리가 사는 인생의 시간이에요. 이 시간이 길게 느껴지시나요? 100년이라고 생각하면 엄청 길게 느껴지지만, 36,500일이라고 생각하면 굉장히 짧게 느껴져요.

 

이 36,500일 동안 매일 케이크처럼 행복한 일들이 생긴다면 어떨까요? 아이일 때는 매일 먹고 싶은 음식과 간식을 먹고, 시험에 매일 100점을 맞고, 갖고 싶은 장난감은 무엇이든지 가질 수 있어요. 부모님의 사랑도 듬뿍 받고 자라나죠.

 

외모도 뛰어나서 미남미녀 소리를 듣고요, 늘 건강하죠. 성인이 되어서는 좋은 대학에 가고 가정이 부유해서 돈 걱정 전혀 안하고 삽니다. 연예도 잘해서 원하는 상대와 멋진 사랑도 하고, 해외여행도 풍족하게 다녀와요.

 

직업도 자신이 원하는 곳에 떡 하니 붙고 직장에서도 매우 유능한 직원으로 인정 받죠. 돈도 잘 벌어서 비싼 주택을 손쉽게 구입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해서 건강한 자녀를 낳아 아주 잘 살아요. 뭐든지 자신이 원하는 것이면 쉽게 이루면서 살기에 부족함이 전혀 없는 완벽한 인생입니다. 

 

여러분도 이런 인생을 꿈 꾸시나요? 상상해 보세요. 늘 이렇게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다면 정말 행복할까요? 우리 인간은 그럴 수가 없도록 창조됐어요. 모든 게 쉬워지면 사람은 더 큰 자극을 원하게 돼요. 그래서 중독이 생기는 것이에요. 모든 걸 이룬 재벌이 우울증에 걸린다거나, 슈퍼 스타가 약물 중독에 빠지는 경우가 흔한데요, 평범한 사람이 봤을 땐 참 배가 불렀다고 보이죠. 그런데 그들은 그럴 확률이 높은 것이에요. 너무나 일이 쉽게 잘 풀리니 더 큰 희열을 느끼고자 자극적인 것에 빠지는 것이죠. 아니면 반대로 심한 우울증에 빠지던가요.

밥과 같은 심심한 일상의 감사함

36,500일 중에 90% 이상은 심심한 일상의 연속이에요. 매일 주식인 밥을 먹는 것처럼 심심한 일상을 우리는 살게 되죠. 그러다가 가끔씩 달콤한 케이크를 먹는 일이 생기는 것이에요. 심심한 밥을 먹다가 케이크를 먹었을 때 우리가 행복을 느끼듯이, 심심한 일상을 살다가 좋은 일을 만났을 때 우리는 격한 행복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심심한 일상은 밥처럼 매우 감사한 시간이자, 우리 인생의 태반을 차지하는 것이랍니다. 이 심심한 일상에 대해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보세요. 그러면 세상이 달라 보입니다. 정말 그래요. 내 관점만 바꾸면 심심한 일상도 새로운 세계를 만난 것처럼 황홀하게 느껴지니까요.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