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경제용어] B2G 영업 뜻과 특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자

by 마마스머프 2025. 1. 26.

영업 중에는 B2G 영업이 있어요. 어떤 영업일까요? 오늘은 B2G 영업 뜻과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하얀색 건물이 있다. 미국 관공서로 멋진 둥근 지붕이 있다. 주변엔 푸른 나무들이 가득하다.

B2G 영업이란

B2G(Business-to-Government) 영업은 기업이 정부기관을 상대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에요. 

 

B2G 영업 시장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기업이 있어요. 중앙정부에는 재정기획부, 교육부, 법무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국방부, 통일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등이 있어요.

 

지방정부로는 도, 특별시, 광역시, 시와 군이 있습니다. 특별시와 광역시에는 구청이 별도로 존재해요.

 

공기업에는 국민연금관리공단, 의료보험관리공단, 한국조폐공사, 한국수자원 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가스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이 있어요.

B2G 영업 특징

정부의 목적은 이윤추구보다는 공공성을 우선으로 합니다. B2G 영업은 공정성을 위해 공개입찰에 의한 비딩에 의해서 성사됩니다.

 

각 기업은 공개입찰의 요건에 맞는 제안서와 프레젠테이션을 철저하게 준비해요. 구매 결정권자는 관공서 사장이 큰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그래서 자율성이 인정돼요. 그리고 중앙정부보다는 지방정부의 장이 의사결정의 자율성이 더 강한 편이에요.

B2G 영업 대상인 공기업 종류

공기업은 정부가 출자한 지분율에 따라 정부출연기관, 정부투자기관, 정부출자기관으로 분류돼요.

 

정부가 100% 출자하면 정부출연기관입니다. 국민연금관리공단, 의료보험관리공단, 국방과학연구소가 여기에 속해요. 정부 출연기관은 상당히 보수적이에요. 규정에 따라서 움직이는 조직이기에 영업 담당자는 이 점을 잘 인지해야 해요.

 

정부투자기관은 정부가 자본을 50% 이상 출자한 경우예요. 한국조폐공사, 한국수자원 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등이 속해요. 이런 기업은 금융, 물, 전력, 토지, 도로와 같이 공공재 성격이 강합니다.


정부출자기관은 정부가 자본을 50% 이하 출자한 경우예요. 한국가스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여기에 속해요.

 

공기업들도 사장의 구매 결정력이 제일 강해요. 자율성이 주어지기 때문이에요. 이런 점을 잘 파악하여 영업 담당자들은 공기업 사장에게 승인을 받기 위해 철저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B2G 영업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