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직 회사원들은 이직할 때 면접을 많이 보게 됩니다. 신입 때와는 또 다르게 준비할 사항이 많은데요, 이에 임원면접 준비사항을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보통 하기 질문이 나오는데요, 집에서 여러 번 연습하시고 면접에 임하시면 좋아요. 마지막 면접인 만큼 준비를 철저히 잘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랄게요.
임원 면접 준비사항
●목적: 임원면접은 면접자가 우리 회사에 잘 맞는 사람인가를 보는 것입니다. <업무능력 적합성 및 됨됨이 평가>
●면접자세
-단정한 정장 복장과 단정한 자세, 명랑하고 밝은 분위기, 면접관과의 적절한 아이컨택을 합니다.
-긴장하지 않고, 여유로운 표정과 목소리로 말합니다. <사전연습을 많이 해야 가능>
-핵심을 말하는 답변을 합니다. <군대식의 너무 짧은 답변 금지, 중언부언 금지>
-반드시 두괄식으로 답변합니다. 결론을 제일 먼저 말하고, 간략한 설명을 곁들입니다.
-모든 답변의 중심은 직무 위주로 말합니다. 태도 좋고, 일 잘할 사람을 채용하기 위한 면접임을 꼭 명심해 주세요. <사적인 감정 위주의 답변은 금지>
-자신감 있게! 당당하게! 말하는 게 좋습니다.
-진실성이 보이는 답변, 우리 회사에 꼭 입사하고 싶은 간절함을 표현하면 좋습니다.
▶면접관과 당신은 같은 편입니다. 그들은 당신의 이력서에 흡족했고,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자세히 알고 싶어서 면접을 보는 것입니다. 그러니 저는 이런 일을 해왔고, 이런 성향을 지닌 사람입니다. 이런 제가 이 회사에 입사하면 서로 윈윈 할 수 있다는 걸 당당하게 보여주시면 됩니다.
●답변시간: 질문의 핵심을 빨리 캐치해서, 핵심만 간결하게 말한다. <질문 1개: 답변시간 1분>
<핵심파악을 못하고, 장황하게 설명하면 면접관들은 눈치 없는 사람으로 평가함.
경력직 면접에선 직무실력과 자세, 사회생활에서의 눈치라는 기본기가 있는 사람인가를 봅니다.>
●면접질문 <면접관 개인 성향에 따라 다양한 질문을 합니다만, 대략 하기 질문이 나옵니다.
답변은 모두 긍정적으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 회사질문+개인질문+팀워크질문+압박질문 *
* 집에서 사전연습을 많이 하시고, 답변을 미리 준비하셔서 면접에 임하면 좋습니다.
1. 우리 회사를 잘 아시나요? <업종, 연혁, 기업문화, 기업비전, 인재상>
2. 우리 회사의 주력사업은 무엇인가요?
3. 우리 회사의 대표 제품은 무엇인가요? <제조업체의 경우 해당>
4. 우리 회사의 최근 핫한 이슈는 무엇인가요?
5. 왜 우리 회사에 지원했나요? <자신만의 특별한 지원동기를 미리 준비해 주세요.>
6. 1분간 자기소개를 해보세요.
<좋은 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00 회사에서 00 업무를 담당 고있는 홍길동입니다.
저는 열린 안목과 강한 의지력을 바탕으로, 제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췄습니다.
평소 일하고 싶었던 귀사에서, 저의 전문성을 살려 시너지효과를 내고 싶습니다.>
7. 자신의 전공과 지금의 직무를 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8. 지금까지 경력 중, 이루어낸 성과는 어떤 게 있나요?
< 가장 좋았던 성과를 몇 가지 요약해서 준비해 주세요. 정확한 수치로 성과를 말하면 좋습니다. >
9. 하고 있는 직무 중 가장 힘들었던 것은 무엇이며, 그때 어떻게 극복했나요?
< 직무수행 시 누구에게나 힘든 고비가 옵니다. 슬기롭게 극복했던 자신의 구체적인 사례를 미리 준비해 주세요. >
10. 개인 성격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11. 가장 행복했을 때, 가장 슬펐을 때는 언제였나요?
12. 전/현 직장에서 팀 동료들과 팀워크는 어땠나요?
13. 같이 일하기 힘든 사람은 어떤 유형인가요?
<좋은 답변: 고객관점이 없는 사람과 고집불통인 사람입니다.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알고 일을 해야지, 그냥 주어진 일만 한다면 제대로 운 업무수행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열린 사고를 갖고 팀 동료들과 융합해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사고가 막힌 고집불통인 사람과는 팀워크가 힘들다고 봅니다.>
14. 상사 <또는 동료>와 갈등이 생기면 어떻게 할 것인가요?
<좋은 답변: 선배동료나, 지인에게 고민상담을 하겠습니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다 이성적으로 판단하게 될 테니, 좋은 조언을 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저에게도 편협한 사고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보다 멀리, 넓게 바라보는 안목을 갖는 터닝포인트로 삼아, 더 뿌리 깊은 인재로 도약하겠습니다.>
15. 상사가 부당한 지시를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요?
<좋은 답변: 윤리적, 법적으로 문제가 될 경우, 상사에게 건의하겠습니다. 각종 사례나 데이터를 준비해서, 상사에게 그렇게 할 경우 차후 문제소지가 있다고 봅니다. 그럼 상사와 저는 물론 우리 팀과 회사 전체에 해가 될 수 있으니 다시 재고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하겠습니다.>
<나쁜 답변: 상사가 지시한 사항이니, 우선 따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16. 앞으로 5년 후, 10년 후 포부가 무엇인가요?
17. 압박을 주는 질문들
<사례: 왜 퇴사했나요? 업무능력이 별로였나 봐요? 진급이 안 됐어요?
고가점수가 어떻게 되나요? 연봉불만으로 이직하려고 하나요?
이 실력으로 우리 회사에 와서 일은 제대로 할 수 있겠어요? 등>
* 이런 압박질문은 모욕감을 주기 위해 하는 게 아닙니다. 일부러 좀 무례한 질문인 줄 알면서도 하는 것인데요, 이때 후보자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서입니다. 이런 압박질문을 받더라도, 전혀 당황하거나, 얼굴에 불쾌한 표정이 드러나면 안 됩니다. 포커페이스를 잘 유지하면서 여유롭게, 유머러스하게 잘 넘기시면 좋아요. *
18. 마지막으로 할 말이 있나요?
<입사의지가 크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해당 기업에 대한 질문 한 가지를 미리 준비하셨다가 하시면 좋습니다.>
19. 참고로 지나간 질문에 답변을 잘 못했더라도, 빨리 잊어버리세요.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지금 받은 질문에 더욱 집중해서 제대로 답변하시면, 임원들의 호감을 살 수 있으니까요.
지금까지 임원면접 준비사항을 알려드렸습니다. 면접에 임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큰 행운이 있길 바랄게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하는 경력직 연봉 협상법을 자세하게 소개해요 (0) | 2023.10.25 |
---|---|
성공하는 경력직 실무 면접 준비 사항을 시원하게 알아보자 (0) | 2023.10.24 |
굿 초이스 60대 남자 아빠 생일 선물 10가지를 추천드려요 (0) | 2023.10.24 |
여유만만 일 잘하는 사람들의 10가지 특징은 무엇일까요 (0) | 2023.10.24 |
톱스타 드라마 출연료 회당 2억원, 단역과 격차 하늘과 땅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