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늘리되, 대학의 사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정원을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알아볼까요.
의대 정원 확대 계획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에 증원 여력이 있는 경우 2025학년도 정원에 우선 고려할 것"이라며 "증원 수요는 있으나 추가적인 교육 역량을 확보해야 하는 경우는 대학의 투자계획 이행 여부를 확인해 2026학년도 이후 단계적으로 증원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지역 의대 신설도 지속적인 검토 대상입니다. 조 장관은 "의사인력 확충의 시급성을 감안해 2025학년도 정원은 기존 대학을 중심으로 증원을 우선 검토하고, 지역의 의대 신설도 지속적으로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환자 대비 의사 수가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의사협회에서는 밥그릇 경쟁으로 인해 의사 증원을 반대해 왔지만 의사들도 변호사들처럼 무한 경쟁 시대로 돌입할 때가 됐네요. 변호사처럼 단기간에 대폭 증원되지는 않겠지만 단계별로 증원된다고 하니, 환자들을 위한 의사 부족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봅니다.
옛날에는 아파도 병원에 안 가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조금만 아파도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굳이 안가도 되는 감기에 걸렸더라도 병원에 가는 경우가 참 많죠. 그래서 의사 부족 수치가 더욱 높아졌다고 봅니다.
쉽지 않은 의사의 길
의사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순수하게 환자의 병을 치료해 주는 ‘의료진’이란 단어보다 ‘좋은 직업’, ‘전문직’, ‘고액 연봉’, ‘선망의 직업’, ‘부와 명예’라는 단어가 지배적입니다. 학생들에게 왜 의사가 되고 싶냐고 물어본다면 위에 언급한 목적으로 의사가 되고 싶다는 답변이 참 많죠.
의사가 되는 길은 너무 힘들고, 의사가 된 뒤에도 아픈 환자들을 매일 치료하는 업무 강도는 결코 만만치가 않아요. 환자를 치료하다가 자신의 건강을 잘 돌보지 못해 중병에 걸리는 의사들도 참 많잖아요. 개원의일 경우 아무리 아파도 매일 병원에 출근해서 진료해야 합니다. 원장이 1명일 경우 대신 진료를 부탁할 수 없기 때문이에요. 종합병원도 마찬가지예요. 중환자들이 많고, 시시각각 급변하는 환자에게 응급처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의사들은 아파도 제대로 휴가를 낼 수 없어요. 내가 쉬면 동료 의사들의 업무 강도가 높아지고, 담당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료를 대신해서 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날로 늘어나는 의료사고 소송도 무시 못하니까요.
따라서 정말 자신의 적성에도 잘 맞고 아픈 사람을 치료해주고 싶은 마음이 큰 분들이 의사가 되었으면 합니다. 그래야 본인도 직업 만족도가 높을 것이고, 환자들도 더 나은 진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니까요.
요즘엔 동네 곳곳에도 개인 병원들이 항목별로 정말 많아요. 예전보다 의사 수가 많아진 건 확실하죠.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소아과나 산부인과, 정형외과는 줄어들고 피부과나 성형외과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이런 의료 항목의 불균형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좋은 정책들이 나오길 기대해 봅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기꾼들의 교활한 수법 10가지는 무엇일까요 (0) | 2023.10.27 |
---|---|
피프티 피프티 소속사 어트랙트, 신인 걸그룹 오디션 제작 발동 (0) | 2023.10.27 |
성공하는 경력직 연봉 협상법을 자세하게 소개해요 (0) | 2023.10.25 |
성공하는 경력직 실무 면접 준비 사항을 시원하게 알아보자 (0) | 2023.10.24 |
성공하는 경력직 임원 면접 준비 사항을 쏙쏙 알아보자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