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매우 신성한 제도입니다. 부부가 된 두 사람은 수십 년을 동고동락하기로 약속하면서 새로운 가정을 꾸리게 되죠. 그런데 이런 고결한 약속을 한 부부가 파경을 맞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요. 결혼한 부부 3쌍 중에 한 쌍이 이혼을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데요, 대표적인 이혼사유에 대해 알아볼게요.

대표적인 이혼사유 순위
1위 배우자의 외도
2위 성격 차이
3위 경제문제<도박, 사치>
4위 가족간 불화 <부부갈등, 고부갈등>
5위 가정 폭력<부부간, 직계가족 간 폭력>
상기 5가지는 대표적인 이혼 사유입니다. 1위가 외도라니 참 씁쓸하죠. 그만큼 성적으로 불결한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많은데요, 한 순간의 불결한 생각을 실행에 옮겼다가 이혼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물론 극소수는 줄기차게 외도를 저지르는 악행을 저지르기도 하죠. 외도를 해서 이혼당한 사람들은 이혼 뒤에도 많이 부끄러울 거예요. 친지나 친구들 사이에서 "저 사람 바람피워서 이혼당했대."라는 꼬리표를 늘 달고 살기 때문이죠.
2위는 성격 차이입니다. 이 말은 많은 걸 포함하고 있어요. 미혼일 때도 두 사람은 성격 차이가 있었을 거예요. 성격은 3살 버릇 여든까지 갈 정도로 바뀌지 않거든요. 그런데 미혼일 때는 동거하지 않고, 사랑의 마음이 크기에 참을만했을 거예요. 그런데 오랜 시간 동거하면서 서로 익숙해지고, 애정도 연애 때보다는 많이 줄어들면서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이 커지는 게 원인이 돼요. 그게 다 성격 차이로 에둘러서 표현된다고 봅니다.
3위는 경제 문제입니다. 주로 가장 역할을 맡은 남편이 생활력이 없거나, 경제활동을 안하거나, 도박에 빠지는 경우가 많아요. 부인의 경우 사치가 심한 경우가 많죠. 이럴 경우 부부간 갈등이 커질 수밖에 없어요. 가족공동체는 경제공동체이기 때문에 경제관념에 있어 부부간 사전 협의가 매우 중요합니다.
4위는 가족간의 불화입니다. 행복하고 평온한 가정을 꾸리고자 부부는 결혼했어요. 그런데 부부간 갈등이나 고부갈등, 친정가족들과 남편 간에 갈등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결혼을 하면 부부만 가족이 된 게 아니라, 배우자의 원가족도 제2의 가족관계를 맺게 돼요. 이때에는 부부간에 서로 선을 지키는 범위를 미리 정하는 게 좋아요. 가장 중요한 가족은 부부와 자녀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남편의 경우 자신의 부모를 제1의 가족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큽니다. 그래서 부인과 시부모 간에 갈등이 크죠. 이런 문제로 이혼한다면 부모에게 오히려 더 불효하는 것이니, 가장 중요한 배우자의 마음에 더 귀 기울여 주시는 게 좋아요.
5위는 가정 푝력입니다. 주로 남편이 부인을 때리는 경우가 많아요. 가끔 부인이 남편을 때리기도 하죠. 그리고 자녀에 대한 폭력도 행해져요.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고 존귀하게 대해야 하는 자신의 배우자와 보석보다 귀한 자녀에게 폭력을 행사한다는 건 말이 안 돼요. 이건 심각한 인격 장애입니다. 당연히 이혼하는 게 맞아요.
지금까지 이혼사유 순위 5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이런 사유로 이혼하고자하는 경우 협의이혼보다는 유책배우자를 상대로 재판상 이혼을 진행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재판을 하려면 혼자 감당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니, 자신에게 알맞은 이혼 전문 변호사를 찾아가 진지한 상담을 받아보세요. 이혼 전문 변호사의 평균 선임 비용은 300만 원~500만 원 정도라고 하는데요, 소송에서 이길 경우 유책배우자에게 소송비 전액을 청구할 수 있어요.
이혼하는 건 결혼하는 것보다 10배는 더 힘든 결정이에요. 하지만 긴 시간을 살아야하는 소중한 당신의 인생을 생각한다면 고통 속에서 참고 사는 것보다는 나을 수도 있어요. 당신은 보석보다 더 영롱하게 빛나는 소중한 사람이니까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도 국산차 판매 순위와 차량 가격을 알아보자 (0) | 2024.04.15 |
---|---|
2023년도 외제차 판매 순위 및 한국인이 좋아하는 외제차는 무엇일까요 (0) | 2024.04.13 |
한국 자영업자 빚 1000조원 넘었다 1인당 자영업자 빚은 1억 8천만원 (0) | 2024.04.13 |
협의이혼 방법과 재판상 이혼사유 및 변호사 비용을 살펴보자 (0) | 2024.04.13 |
프리 세일즈와 포스트 세일즈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