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가 되면서 노인들의 빈곤율도 올라가고 있어요. 대기업에서 일하던 분들도 50대 은퇴 이후에 노후자금이 부족하여 생활고를 겪는 경우가 참 많죠. 재취업을 원해도 할 수 있는 일이 적고, 임금도 적어요. 이에 중장년들의 은퇴연령과 재취업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학 졸업 후 경제활동 시간
대학교를 졸업해도 바로 취업하지 못해 몇 년을 취업준비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00년 이후부터 20대 태반이 백수라는 '이태백'이란 신조어가 생겼는데요, 2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그 말이 여전히 적용되고 있어요.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남성의 경우 대학 졸업 후 일하는 시간이 평균 18년 4개월, 여성의 경우 10년 5개월입니다. 이 기간 동안 주요 일자리에서 일을 하고 퇴직을 맞이하죠. 첫 직장은 여성은 26세, 남성은 29세 정도인데요, 휴학 기간 동안 어학연수, 자격증 취득, 인턴활동을 필수적으로 하기 때문에 늦어지고 있어요. 10년 전만 해도 영어가 능숙한 취준생이 많은 편이 아니었지만 지금은 웬만한 취준생들은 영어회화를 능숙하게 잘하더라고요. 자격증도 4~5가지는 기본이며, 컴퓨터 스킬도 뛰어납니다. 이것이 기본이에요. 하지만 다들 수준이 높아져서 이런 자격이 있음에도 취업하는 게 쉽지 않아요.
설령 취업했다고 해도 20년 미만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끊기고 말죠. 말 그대로 끊긴 거예요. 정년퇴직 비율은 9.7%이며,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 등 비자발적인 퇴직 비율은 무려 56.5%입니다. 그렇게 유능한 사람들이 회사에서 내몰리고 갈 데가 없어 많은 고심에 빠지고 말죠. 인생살이 참 쉽지 않죠?
퇴직 후 재취업을 희망하는 사람들
주된 직장에서 퇴직 후 중장년층은 생계를 위해 다시 재취업을 원합니다. 약 70%가 재취업을 시도했으며, 전에 했던 주요 직장 대비 임금이 63%에 그쳐요. 400만원을 받았던 분이 재취업 이후 252만 원을 받는 셈이죠. 그리고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이 많아 70%가 비정규직 일자리를 갖게 됩니다.
재취업 후 희망 임금을 알아볼까요. 남성의 경우 평균 329만원, 여성의 경우 256만 원을 원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69세까지는 계속 경제활동을 하고 싶다고 해요. 100세 시대이기에 70세까지는 일하고 20~30년은 편하게 노후생활을 하고 싶어 하죠.
일하는 즐거움
일을 하는 가장 큰 목적은 생계유지입니다. 이것은 기본이죠. 하지만 넉넉한 생활자금이 있어도 일하고 싶어하는 분들이 많아요. 물론 이런 분들의 경우 근무시간을 줄이고, 업무 강도가 낮은 일을 원하죠. 그 이유는 일을 할 때 자신의 존재 가치를 매일 느끼고, 생활의 활력을 얻기 때문이에요. 아무것도 안 하고 있으면 하루를 맞이하는 게 그리 즐겁지 않고, 정신도 몽롱해집니다. 몸도 더 아파오는 것처럼 느껴지죠. 그래서 작은 일이라도 자신이 기쁘게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게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좋아요.
시골 사람의 경우 텃밭을 가꾼다거나, 도시 사람의 경우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것이죠. 일본의 80대 할머니가 맥도날드에서 파트타임으로 열심히 일하는 모습을 봤는데요, 늙어서까지 일할 수 있어 감사하고 즐겁다고 하더군요. 몸을 자꾸 움직이고 사람들과 소통하는 게 그 할머니에겐 큰 기쁨이라고 해요.
아무쪼록 젊은이들은 젊었을 때 중장년과 노년의 생활자금을 고려하여 저축과 투자에 힘을 쓰고, 중장년층은 재취업의 방향성을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필수입니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관리예요. 건강을 잃어버리면 다 잃은 것이니, 꼭 기억하세요.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 첫 날에 떡국 먹는 이유를 꼼꼼하게 알아보자 (0) | 2024.01.01 |
---|---|
2023년 연령별 평균 연봉을 알려드려요 (0) | 2023.12.31 |
직장인 새해소망 1위는 압도적으로 이것이 차지했어요 (0) | 2023.12.31 |
수많은 자영업자가 망하는 이유와 잘되는 가게의 황금 비법은 무엇일까요 (0) | 2023.12.27 |
메리 크리스마스 뜻과 12월 25일로 정해진 이유가 궁금해요 (0) | 2023.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