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32

거지에 관한 속담 41가지를 소개해요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거지와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거지에 관한 속담 41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거지에 관한 속담 41가지1>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 : 빌어먹는 형편에 하늘을 보고 처지가 가련하다고 한다는 뜻으로, 주제넘게 동정을 하거나 엉뚱한 일을 걱정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거지끼리 자루 찢는다 : 서로 동정하여야 할 사람들끼리 오히려 아옹다옹 다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사흘 굶은 거지도 안 들어가겠다 : 먹을 것이 없는 너절하고 시시한 물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삼대 정승이 없고 삼대 거지가 없다 : 삼대에 걸쳐서 계속 거지 노릇만 하는 집안도 없고 계속 부자인 집안도 없다는 뜻으로, 많은 재산이 오랫동안 유지될.. 2025. 7. 8.
초가집에 관한 속담 3가지를 알아보자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초가집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초가집에 관한 속담 3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초가집에 관한 속담 3가지1>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 : 손해를 크게 볼 것을 생각지 아니하고 자기에게 마땅치 아니한 것을 없애려고 그저 덤비기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2> 삼간초가가 다 타도 빈대 죽어[타 죽는 것만] 좋다 : 비록 자기에게 큰 손해가 있더라도 제 마음에 들지 아니하던 것이 없어지는 것만은 상쾌하다는 말.3> 초가집 대교(待敎)가 없고 물 건너 대교가 없고 얽은 대교가 없다 : 가난한 집에서 대교 벼슬이 나올 수 없고 물 건너 사는 세력 없는 집에서도 대교가 나올 수 없으며 낯이 얽어 못생긴 사람 가운데서도 대교가 나올 수 없다는 뜻.. 2025. 7. 8.
기와집에 관한 속담 8가지를 살펴보자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기와집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기와집에 관한 속담 8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기와집에 관한 속담 8가지1> 입의 말 다 듣자면 고래 등 같은 기와집도 하루아침에 넘어간다 : 먹고 싶은 대로 다 먹다가는 아무리 큰 재산이라도 다 거덜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2> 땀 흘린 밭에 풍년 들고 피 흘린 곳에 기와집 짓는다 : 힘을 들이며 애써 일해야 풍년도 오고 기와집도 생긴다는 말.3>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 1. 당장 먹을 것이나 입을 것이 넉넉지 못한 가난한 살림일수록 기와집을 짓는다는 뜻으로, 실상은 가난한 사람이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하기 싫어서 허세를 부리려는 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가난하다고 주저앉고 마는 것이 아니라.. 2025. 7. 8.
남편에 관한 속담 17가지를 알아보자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남편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남편에 관한 속담 17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남편에 관한 속담 17가지1> 미워도 내 남편 고와도 내 남편 : 좋으나 나쁘나 한번 정을 맺은 다음에야 말할 것이 없다는 말. 2> 아기 버릇 임의 버릇 : 부모가 아기를 돌보아 주듯이 아내가 남편을 돌보아 주어야 남편이 좋아함을 이르는 말. 3> 남편은 두레박 아내는 항아리 :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다 항아리를 채운 데서, 남편이 밖에서 돈을 벌어 집에 가지고 오면 아내는 그것을 잘 모으고 간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남편 덕을 못 보면 자식 덕을 못 본다 : 시집을 잘못 가서 평생 고생만 하는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5> 남편 복 없는 여자는[년은] 자식.. 2025. 7. 8.
아내 또는 처에 관한 속담 36가지를 소개해요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아내와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아내에 관한 속담 36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아내에 관한 속담 36가지1> 아내에게 한 말은 나도 소에게 한 말은 나지 않는다 : 소에게는 무슨 말을 하여도 절대로 다시 옮기는 일이 없어 새어 나가지 아니하지만 처나 가까운 가족에게 한 말은 어김없이 새어 나가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다정한 사이라도 말을 조심하여서 가려 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2> 아내가 예쁘면 처갓집 울타리까지 예쁘다 : 어떤 사람을 너무 좋아하여 사리 판단이 어두워지면 실수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남편을 잘못 만나면 당대 원수 아내를 잘못 만나도 당대 원수 : 결혼을 잘못하면 일생 동안 불행하다는 말.4> 남편.. 2025. 7. 8.
호미에 관한 속담 3가지를 살펴보자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호미와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호미에 관한 속담 3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호미에 관한 속담 3가지1>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 적은 힘으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일에 쓸데없이 많은 힘을 들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미장이에 호미는 있으나 마나 : 남에게는 요긴한 물건일지라도 제게는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병신이 호미 훔친다 : 겉으로는 병신 같으나 속으로는 제 실속을 차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 2025. 7. 7.
망치에 관한 속담 2가지를 살펴보자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망치와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망치에 관한 속담 2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망치에 관한 속담 2가지1> 망치가 가벼우면 못이 솟는다 : 윗사람이 위엄이 없으면 아랫사람이 순종하지 아니하고 반항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2> 망치로 얻어맞은 놈 홍두깨로 친다 : 앙갚음은 제가 받은 피해보다 더 크게 하기 마련이라는 말.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 2025. 7. 7.
사슴에 관한 속담 2가지를 소개해요 우리나라 속담 중에는 사슴과 관련된 내용들이 있어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사슴에 관한 속담 2가지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사슴에 관한 속담 2가지1> 닫는 사슴을 보고 얻은 토끼를 잃는다 :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다가 도리어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녹비에 가로왈 : 사슴 가죽에 쓴 가로왈(曰) 자는 가죽을 잡아당기는 대로 일(日) 자도 되고 왈(曰) 자도 된다는 뜻으로, 사람이 일정한 주견이 없이 남의 말을 좇아 이랬다저랬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도 빛나는 하루 보내세요. 2025.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