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22 골나면 보리방아 더 잘 찧는다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골나면 보리방아 더 잘 찧는다는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골나면 보리방아 더 잘 찧는다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골나면 보리방아 더 잘 찧는다 뜻이 속담은 골이 난 김에 기가 올라 일이 더 잘 되어 가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에요. 골이 난다는 것은 바로 화가 난다는 말로, 화가 나면 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그 뿜어져 나오는 화 기운 덕에 보리방아를 더 잘 찧는다는 것이죠. 이처럼 사람은 화가 나면 기가 세져서 그 기운으로 인해 일이 더 잘될 때 사용하는 속담이에요.골나면 보리방아 더 잘 찧는다 사용 사례■사례1초등학생 경수는 오늘 화가 많이 났어요. 엄마가 늦잠을 잤다고 혼냈거든요. 온종일 화가 난 경수는 아빠 심부름으로 골목길 청소를 했어요. 씩씩거리면서 빗자루질을 하는데.. 2024. 11. 23. 고양이 죽는 데 쥐 눈물만큼 속담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고양이 죽는 데 쥐 눈물만큼이란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고양이 죽는 데 쥐 눈물만큼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고양이 죽는 데 쥐 눈물만큼 뜻이 속담은 고양이가 죽었다고 쥐가 눈물을 흘릴 리 없다는 데서, 아주 없거나 있어도 매우 적다는 뜻이에요. 고양이와 쥐는 천적 관계예요. 자신을 잡아먹는 고양이가 죽었다고 해서 쥐가 눈물을 흘릴까요? 안 흘리거나 아주 조금 흘릴 수는 있겠죠. 이처럼 어떤 물건이나 감정이 아예 없거나 매우 적을 때 사용하는 속담이에요. 고양이 죽는 데 쥐 눈물만큼 사용 사례■사례1초등학생 유민이는 과자를 매우 좋아해요. 오늘은 친구 미나랑 길을 걷는 데 유민이가 과자를 샀죠. 미나가 과자를 달라고 하자, 유민이는 아주 조금 나눠주었어요. 그러자 미나.. 2024. 11. 22. 겨울바람이 봄바람 보고 춥다고 한다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겨울바람이 봄바람 보고 춥다고 한다는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겨울바람이 봄바람 보고 춥다고 한다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겨울바람이 봄바람 보고 춥다고 한다 뜻이 속담은 내 허물은 생각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작은 허물을 흉본다는 뜻이에요. 겨울바람은 매우 춥습니다. 반면 봄바람은 상쾌하죠. 그런데 훨씬 추운 겨울바람이 봄바람에게 "너 대개 춥다."라고 말하면 많이 우스워요. 이처럼 자신의 허물이 많으면서 다른 사람의 작은 허물을 흉볼 때 사용하는 속담이에요. 겨울바람이 봄바람 보고 춥다고 한다 사용 사례■사례1초등학생 성미는 또래 친구보다 키가 많이 작아요. 그런데 성미는 다른 친구를 가리키면서 말했어요."넌 왜 그렇게 땅꼬마처럼 키가 작니?" 그러자 그 친구가 응대했죠.. 2024. 11. 21. 고기 말린 손 국 솥에 씻으랴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고기 말린 손 국 솥에 씻으랴는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고기 말린 손 국 솥에 씻으랴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고기 말린 손 국 솥에 씻으랴 뜻이 속담은 아무리 인색한들 손에 묻은 고기 비린내가 아깝다고 그 손을 국 솥에 씻겠느냐는 뜻이에요. 지나치게 인색한 사람을 보고 설마 그렇게 더러운 행동까지 하겠냐는 말입니다.물고기를 말리는 작업을 하는 동안 손에 비린내가 많이 나요. 그 비린내가 아깝다고 국 솥에 손을 씻어 국을 끓이지는 않겠죠. 이처럼 아무리 인색한 사람이어도 그 정도로 해서는 안 될 행동까지는 안 하겠지?라고 말할 때 사용하는 속담이에요. 고기 말린 손 국 솥에 씻으랴 사용 사례■사례1고등학생 영아는 매우 알뜰한 학생이에요. 몽당연필도 버리지 않고 볼펜 대에.. 2024. 11.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