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798 서울시 아동급식카드, 편의점에서 간식구매 가능 서울시가 ‘아동급식카드(꿈나무카드)’를 이용하는 결식우려아동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낙인감을 해소하기 위해 카드 사용범위를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서울시 아동급식카드 내용○ 서울시 결식우려아동은 총 3만여 명으로, 서울시는 아동급식카드, 지역아동센터, 도시락 배달 등을 통해 급식을 지원하고 있다. ○ 서울시는 2019년 아동급식카드 결제시스템을 전면 개편한 이후, 2021년 가맹점을 서울 시내 전체 일반음식점으로 확대하고 2022년 전국 최초로 편의점에 온라인 결제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아동들의 선택권 확대와 낙인감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다. □ 20023년 7월 24일(월)부터 CU편의점에서 ‘아동급식카드’로 도시락이나 간편식 같은 식사류를 구입할 때 추가로 과자, 아이스크림 같은 간식류도 함께.. 2023. 7. 28. 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과 신청방법을 알려드려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노동시장에 신규 취업한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초기 경력을 쌓고, 기업은 우수한 청년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청년-기업-정부가 공동으로 금액을 적립하여 청년의 장기근속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청년내일채움공제 대상과 신청방법지원대상▶청년(연령)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 군 경력자는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최고 만 39세로 한정) (고용보험 이력)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인 자 * 단, 3개월 이하 단기 가입이력은 총 가입기간에서 제외 * 방송·통신·방송통신·사이버(원격대학), 학점은행제, 야간대학, 대학원은 제외 (학력) 제한은 없으나,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재학․휴학 .. 2023. 7. 27. <결혼자금 증여공제> 부부합산 3억원까지 증여세 안 낸다 27일 기획재정부는 ‘2023년 세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번 개정안을 통해 정부는 저출산 대응의 일환으로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결혼자금 증여공제 내용결혼자금에 대해 직계존속(부모·조부모)으로부터 증여받은 1억 원을 추가 공제하기로 했다. 기존 5천만 원에서 1억 5천만 원으로 상향된 셈이다. 이로써 내년부터 혼인신고 전후로 2년, 즉 4년간 직계존속으로부터 지원받은 1억 5천만 원까지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결혼식 또는 혼인신고, 신혼집 마련까지 일정 시차가 있는 현실을 고려해 공제적용 시점을 가급적 폭넓게 잡았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신랑·신부 모두 과거 10년간 증여받은 재산이 없다면 각자 자기 부모나 조부모로부터 1억5천만원씩 총 3억 원을 비과세로 증여받을 수 있.. 2023. 7. 27. 천만 노인시대 코 앞, 노인 일자리 증대된다 오늘 발표된 한국 인구조사 통계 결과, 현재 노인 인구는 915만 명이다. 천만 노인시대가 코 앞에 이른 것이다. 기대수명이 100세로 연장되면서 이젠 일하는 노인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노인 일자리를 2027년까지 현재 88만 개에서 120만 개로 늘린다고 밝혔다. 이는 노인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수치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운영위원회에서 이러한 내용 등을 담은 '제3차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종합계획(2023∼2027년)을 발표했다. 정부는 ▲ 노인인구 10% 수준의 일자리 창출 ▲ 노인 일자리 다양성 강화 ▲ 정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목표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통계청 추계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2027년 1167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복.. 2023. 7. 27. 이전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