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풀이627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는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려요.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뜻이 속담은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계속되면 나중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뜻이에요. 가랑비는 가늘게 내리는 비로 이슬비보다는 좀 굵어요. 처음엔 옷을 젖게 만들지 않지만, 오랜 시간 계속 맞으면 옷을 젖게 만들죠. 이처럼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계속 반복되면 큰 어려움이 된다는 경고를 할 때 사용하는 속담입니다.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사용 사례■사례1초등학생 성아는 양치질하는 걸 매우 귀찮아해요. 사탕을 먹고, 초콜릿을 먹어도 양치질을 안하고 자요. 엄마가 양치질을 꼭 하고 자라고 말했지만 무시했어요. 이렇게 1년이 지나자 어느 .. 2024. 8. 23. 독 안에 든 쥐 속담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독 안에 든 쥐라는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독 안에 든 쥐 속담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려요.독 안에 든 쥐 뜻이 속담은 아무리 애를 써도 궁지에서 벗어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는 뜻이에요. 독은 항아리예요. 옛날 우리 조상들은 이 독에 음식을 보관했어요. 쌀을 넣는 쌀독, 김치를 넣는 김칫독, 곡식을 저장하는 각종 독들, 된장이나 고추장을 담가 놓은 장독들 등 매우 다양합니다. 냉장고가 없었으니 이런 항아리에 보관한 것이죠. 그래서 쥐들은 밤에 몰래 나와 이런 음식이 담긴 독들 주변을 맴돌았어요. 그런데 독 안으로 쥐가 빠지면 어떻게 될까요? 빠져나올 수가 없어요. 독의 옆면은 매우 미끄러워 올라올 수가 없거든요. 이처럼 아무리 애를 써도 어려운 상황에서 빠져나오기 힘들 때.. 2024. 8. 22.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는 속담이 있어요. 어떤 의미일까요? 오늘은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려요.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뜻이 속담은 아무리 보잘것 없고 흔한 것도 정작 쓰려고 찾으면 구하기 어렵다는 뜻이에요. 옛날에 개들은 마당에 묶어놓고 길렀어요. 개똥은 매우 흔한 것이었죠. 동네 곳곳을 돌아다니는 개들도 많다보니 개똥이 길가에 널브러진 경우도 많았고요. 그리고 옛날에 개똥은 진짜 약으로 사용했다고 해요. 허준의 동의보감에도 개똥을 약으로 사용했다는 내용이 나와 있어요. 이렇게 늘 흔하게 보던 개똥이지만 막상 약으로 사용하려고 찾아보니 보이지 않을 때가 있어요. 이처럼 아무리 흔한 것도 막상 사용하려고 찾으면 구하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속담입니다. 개똥도 약에 .. 2024. 8. 22. 우는 아이 젖 준다 속담 뜻과 사용 사례 예문 상세안내 우는 아이 젖 준다는 속담이 있어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우는 아이 젖 준다 뜻과 사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려요.우는 아이 젖 준다 뜻이 속담은 무슨 일이든 자기가 요구해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아직 말을 못하는 갓난 아기는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지 못해요. 배가 고프다고 말을 하면 좋은데 말을 할 수 없으니 그냥 우는 것이죠. 아기가 울면 엄마는 달려와 왜 우는지 살펴보다가 배가 고파서 우는 것을 알면 얼른 젖을 줍니다. 이처럼 무언가 원하는 게 있으면 가슴 속에 꽁꽁 묻어둔 채 내가 말을 안해도 상대방이 알아주길 바라면 안 돼요. 내가 무얼 원하는지를 분명하게 말해야 쉽게 얻을 수 있답니다.우는 아이 젖 준다 사용 사례■사례1초등학생 민경이는 용돈이 늘 부족해요. 새로 나온 필통도 .. 2024. 8. 22. 이전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57 다음